전체 글 138

[Stellar Maze] INFJ와 INTJ의 외향 감각 - 1편

원문보기: http://www.stellarmaze.com/extraverted-sensation-in-infj-and-intj-part-1/ 외향 감각은 이렇게 말합니다. “저기 나무가 있군. 존재하는군. 자, 다음으로 넘어가죠.” 반면 내향 직관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래, 저기 나무가 있긴 한데…저 나무의 의미는 도대체 무엇일까?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을까? 왜 하필 저 곳에 있는 것일까? 나무의 내면에는 무엇이 있는가? 나무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 존재란 대체 무엇인가?” 뭐 대충 이런 식입니다. 외향 감각은 INFJ와 INTJ유형의 열등 기능입니다. 필자는 외향 감각이 이 두 유형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외향 감각이 무엇인지, 그리고 열등 기능이 ..

INFJ 세상공부 2019.06.01

[Stellar Maze] INFJ의 정보 중독 극복

원문보기: http://www.stellarmaze.com/infj-curbing-information-addiction/​ 이 포스팅에서는 INFJ의 3차 기능 내향 사고와, 이 기능을 가지고 부기능 외향 감정을 건너뛰어 퍼즐의 마지막 조각이 되어줄 마법 같은 열쇠를 쥐어줄 것만 같은 끝도 없는 탐색에 빠지게 되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INFJ들에게 이런 류의 탐색은 사실 대부분이 착각에 기반한 것인데다 결실이 있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INFJ들은 오히려 정반대 기능인 외향 감정을 장착하여 이런 문제를 헤쳐나가야만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INFJ들이 내향 사고의 투입을 최소화하고 외향 감정을 가능한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몇 가지 실용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정보가 더 필요해~ INF..

INFJ 세상공부 2019.06.01

[Stellar Maze] 내향 감정과 외향 감정 비교

원문 보기: http://www.stellarmaze.com/introverted-feeling-vs-extraverted-feeling/ 이 두 기능 참 헷갈리죠? 사실 둘을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내향 감정은 표현을 잘 하지 않는 반면, 외향 감정은 표현이 풍부하다는 것입니다. 융은 내향 감정에 대해, 내향 감정을 주기능으로 가지고 있는, 주로 여성인 사람들은, 대체로 겉보기에 차가워 보인다고 하였습니다. 주로 여성들이 내향 감정을 주기능으로 사용한다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남자들 중에도 내향 감정을 주기능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여성만큼이나 많거든요. 영화 속의 마피아를 떠올려 보세요. 마피아의 고위급 보스들은 외향 감정 유형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감정에 기반한 가..

INFJ 세상공부 2019.06.01

[Stellar Maze] INFJ들이 행동해야 하는 이유

원문 보기: http://www.stellarmaze.com/dear-infj-thy-throne-is-awaiting/ NFJ들은 세상을 지배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물론이죠, 그렇고 말고요. INFJ들은 세상을 지배할 만한 역량이 차고도 넘칩니다. 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말하는 철학자 왕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정의롭고 선한 지배자가 되면서도, 또한 모든 일에 대한 지식도 풍부할 것입니다. 그래서, INFJ들이 왜 이제껏 세상을 지배하고 있지 않은걸까요? 그것은 바로 외향 감각 때문입니다. 최고의 역설입니다. 그리고 외향 감각이야말로 가장 단순 명백한 것들 중 하나가 아닙니까. 이조차도 역설적이죠. 역설 중의 역설이요, 모든 것이 역설적이지 않습니까. 바로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지금..

INFJ 세상공부 2019.06.01

[Simply Psychology] 이드, 에고, 그리고 슈퍼에고

원문 보기: https://www.simplypsychology.org/psyche.html Freud 이론의 핵심은 인간의 심리가 다면적이라는 것이다. Freud(1923)는 인간의 심리가 세 가지 요소, 즉 이드, 에고 그리고 슈퍼에고로 구성되었으며, 이 세 요소는 각기 다른 인생의 단계에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이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시스템은 신체와는 관련이 없으며, 뇌의 일부분도 아닌, 순전히 정신적인 요소다. Freud의 심리 모델에 의하면, 이드는 성적인 본능과 공격적인 본능, 숨겨진 기억 등을 가지고 있는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요소, 슈퍼에고는 도덕적이고 의식적인 요소, 에고는 이드와 슈퍼에고의 욕구를 중재하는 현실적인 요소라고 한다. 이렇듯 성격의 세 가지 요소는 각자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Simply Psychology] 정신분석

원문 보기: https://www.simplypsychology.org/psychoanalysis.html Sigmund Freud (1856-1939)는 정신분석법을 고안하였다. Freud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인 생각과 동기를 의식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문제의 원인에 대한 통찰을 얻어 이를 통해 치유될 수 있다고 믿었다. 정신분석 치료법의 목적은 억압된 감정과 경험을 풀어주어 무의식을 의식으로 만드는 것이다. 카타르시스를 경험했을 때에만 환자가 온전히 치유될 수 있다고 믿었다. 정신분석 가정 • 정신분석 심리학자들은 심리적인 문제의 원인은 전부 무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숨겨진 갈등으로 인한 것이다. • 심리 문제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발달 과정에서의 미결된 이슈 혹은 억..

[Simply Psychology] 정신역학적 접근법

원문 보기: https://www.simplypsychology.org/psychodynamic.html 아무리 심리학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웬만해서는 Sigmund Freud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Freud는 심리학에서의 정신역학적 접근과 정신분석의 창시자다. 많은 사람이 Freud를 생각하면 환자가 안락의자에 누워 심오한 마음 속 비밀에 대해 털어놓는 이미지를 떠올릴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과 정반대되는 방식으로, 정신역학적 심리학은 과학의 틀에서 온전히 벗어나, 개인의 머리 속에서 벌어지는 과정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여 한 개인이 관계와 경험,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파악하려 한다. 정신역학적 접근은 인간의 행태에 관해 개인의 내면에서, 특히 무의식적인 부분에서 유..

[Simply Psychology] Erik Erikson

원문보기: https://www.simplypsychology.org/Erik-Erikson.html Erik Erikson (1950, 1963)은 심리사회적 발달에 관한 정신분석적 이론을 제안하였다. 심리사회적 발달은 태생부터 성인기까지 8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마다 심리사회적 위기에 직면하게 되며, 이 위기의 결과에 따라 성격 발달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부정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Erikson은 특히 Freud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성격의 구조와 구성에 대한 Freud (1923)의 이론에 동조하였다 .하지만, Freud가 이드 심리학자였던 반면, 에릭슨은 에고 심리학자였다. 그는 문화와 사회의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으며, 에고 안에서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 반면, Fre..

[Simply Psychology] Kohlberg

원문 보기: http://www.simplypsychology.org/kohlberg.html Lawrence Kohlberg (1958)는 Piaget (1932)의 도덕적 발달 이론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였지만, Piaget의 이론을 조금 더 발달시키고 싶어 하였다. 그는 Piaget의 스토리텔링 테크닉을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도덕적 딜레마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각 경우에서, Kohlberg는 선택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권위자의 권리와 부당한 대우를 받은 자의 권리 간에 선택과 같은 딜레마를 제시하였다. Kohlberg (1950)의 이야기 중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유럽에서 사는 Heinz라는 남자에 관한 것이었다. Heinz의 부인은 특수한 종류의 암을 앓고 있었다. 의사들은 신종 치..

[Simply Psychology] John Bowlby

원문 보기: http://www.simplypsychology.org/attachment.html John Bowlby (1907-1990)는 프로이트처럼 정신분석학자였고, 개인의 정신 건강과 문제 행동 모두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믿었다. Bowlby의 진화론적 애착이론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타인과 애착을 형성하도록 이미 프로그래밍이 된 상태이며, 이런 특성은 아이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Bowlby는 대체로 발생론적 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Lorenz (1935)의 각인 이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Lorenz는 (오리 새끼의 예를 들어) 애착은 타고난 것이며,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을 증명해 보였다...